KSC 로케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SC 로케런은 1923년 Racing Club Lokeren으로 창단된 벨기에의 축구 클럽이다. 1970년 재정 문제로 인해 같은 도시의 다른 팀과 합병하여 Koninklijke Sporting Club Lokeren이 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팀명 변경을 거쳤다. 2020년 4월, 5백만 유로의 부채로 파산하여 KSV Temse와 합병, K.S.C. 로케런-템세로 재창단하여 현재 벨기에 2부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벨기에 1부 리그 준우승 1회, 벨기에 컵 우승 2회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UEFA컵/UEFA 유로파 리그와 UEFA 인터토토컵에도 여러 차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플란데런주의 스포츠 - KSK 베베런
KSK 베베런은 벨기에 베베런을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21년 창단되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재정난으로 해체 위기를 겪은 후 유소년 팀을 중심으로 명맥을 이어가다 2022년 남자팀을 재창단하여 현재 동 플란데렌주 1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 오스트플란데런주의 스포츠 - FCV 덴더르 EH
FCV 덴더르 EH는 1935년 창단되어 2005년 합병 후 KVC 덴더르 에하우트로 재출범, 벨기에 1부 리그에 진출했다가 강등 후 2023-24 시즌 챌린저 프로 리그 2위로 다시 1부 리그 복귀를 확정지은 벨기에 축구 클럽이다. - 벨기에의 없어진 축구단 - 리르서 SK
리르서 SK는 1906년에 창단된 벨기에의 축구 클럽으로, 벨기에 1부 리그에서 4회, 벨기에 컵에서 2회 우승했으며,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 벨기에의 없어진 축구단 - 베이르스홋 AC
벨기에 앤트워프를 연고로 했던 베이르스홋 AC는 1920년 창단 후 합병과 명칭 변경을 거쳐 벨기에 컵 우승 2회를 기록하고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했으나, 2013년 재정 문제로 해체되었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서던 유나이티드 FC
서던 유나이티드 FC는 2004년 오타고 유나이티드로 창단되어 뉴질랜드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 더니든을 연고로 오타고 지역을 대표했으나, 2020년 운영 중단 후 2021년 해체된 축구 클럽이다. - 2020년 해체된 축구단 - 상주 상무 축구단
상주 상무 축구단은 국군체육부대 예하 프로 축구단으로, 2002년 창단하여 K리그에서 활동하다 2020년 김천 상무 FC로 재창단되기 전 K리그2 2회 우승 및 FA컵 1회 우승을 기록했다.
KSC 로케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코닌클리케 스포르팅 클럽 로케런 오스트플란데런 |
별칭 | 트리콜로레스 |
창단 | 1923년 1월 22일 |
해체 | 2020년 4월 20일 |
경기장 | 다크남스타디온, 로케런 |
수용 인원 | 12,136명 |
클럽 정보 (해체 당시) | |
회장 | (정보 없음) |
감독 | (정보 없음) |
시즌 | (정보 없음) |
리그 | (정보 없음) |
순위 | (정보 없음)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1923년 Racing Club Lokeren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8]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951년 Koninklijke Racing Club Lokeren으로, 1970년에는 재정 문제로 인해 같은 연고지를 쓰던 다른 클럽과 합병하여 Koninklijke Standaard F.C. Lokeren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2000년 K. Sint-Niklase S.K.E.과 Koninklijke Sporting Club Lokeren이 합병되었고, 2003년 K.S.C. Lokeren Oost-Vlaanderen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2018년 벨기에 1부 리그 B로 강등되었고, 2019년에는 Louis de Vries와 Alexander Janssen이 각각 회장과 CEO 직책을 맡아 클럽을 이끌었다.
2020년 4월, KSC 로케런은 파산 선고를 받았다.[9] 이후 KSV 템세와 합병하여 KSC 로케런-템세로 재창단되었다.
2. 1. 창단 초기 (1923년 ~ 1970년)
1923년, '''레이싱 클럽 로케런'''(Racing Club Lokeren)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8] 1951년, '''Koninklijke Racing Club Lokeren'''으로 이름을 바꾸었다.[8] 1970년, 재정 문제로 인해 같은 연고지의 다른 클럽을 합병하여 '''Koninklijke Standaard F.C. Lokeren'''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8]2. 2. 합병과 재정 위기 (1970년 ~ 2020년)
1970년, KSC 로케런은 재정 문제로 같은 연고지의 다른 클럽(Koninklijke Standaard FC Lokeren)과 합병하여 Koninklijke Standaard F.C. Lokeren이 되었다.[8]2000년에는 Koninklijke Sint-Niklaas S.K.E.와 합병하여 Sporting Lokeren Sint-Niklaas Waasland가 결성되었다. 2003년에는 클럽 이름에 지방 이름을 추가하여 K.S.C. Lokeren Oost-Vlaanderen으로 변경되었다.[8]
2015년 4월 30일, 소속 선수였던 그레고리 메르텐스가 경기 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3일 후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선수 안전 문제와 구단의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9]
2019년, KSC 로케런은 23년 만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심각한 재정난이 이어졌고, 클럽의 부채는 500만유로 (약 58.4억원)에 달했다. 선수와 직원들에 대한 급여 지급도 지연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2020년 4월 20일 파산 선고를 받았다. 이는 방만한 운영과 재정 관리 실패가 초래한 결과로, 팬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9]
2. 3. KSC 로케런-템세 (2020년 ~ 현재)
2020년 4월 20일, KSC 로케런은 2019-20 시즌 동안 파산했다. 로케런은 500만유로의 미지급 부채를 안고 있었고, 직원과 선수에게 급여를 지급할 수 없었다.[9]2020년 4월 22일, 로케런은 KSV 템세와 합병하여 KSC 로케런-템세를 창단하고 벨기에 2부 아마추어 리그(4부 리그)에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3. 성적
KSC 로케런은 벨기에 컵에서 2회 우승(2011-12, 2013-14)과 1회 준우승(1980-81)을 차지했고, 벨기에 2부 리그에서 1회 우승(1995-96), 벨기에 1부 리그에서 1회 준우승(1980-81)을 기록했다. 벨기에 슈퍼컵에서는 준우승만 2회(2012, 2014) 기록하였다.
3. 1. 벨기에 국내 대회
3. 2. 유럽 대항전
KSC 로케런은 UEFA컵과 UEFA 유로파 리그, UEFA 인터토토컵에 참가한 기록이 있다.대회 | 참가 횟수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UEFA컵/UEFA 유로파 리그 | 8 | 38 | 16 | 10 | 12 | 46 | 37 |
UEFA 인터토토컵 | 4 | 18 | 7 | 2 | 9 | 25 | 28 |
다음은 KSC 로케런의 시즌별 유럽 대항전 성적이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1976-77 | UEFA컵 | 1라운드 | Red Boys Differdange|레드 보이즈 디페르당lb | 3–1 | 3–0 | 6-1 |
2라운드 | FC Barcelona|바르셀로나es | 2–1 | 0–2 | 2-3 | ||
1980-81 | UEFA컵 | 1라운드 | Динамо Москва|디나모 모스크바ru | 1–1 | 1–0 | 2-1 |
2라운드 | 던디 유나이티드 FC | 0–0 | 1–1 | 1-1 (원정 다득점) | ||
3라운드 | 레알 소시에다드 | 1–0 | 2–2 | 3-2 | ||
8강 | AZ Alkmaar|AZ 알크마르nl | 1–0 | 0–2 | 1-2 | ||
1981-82 | UEFA컵 | 1라운드 | FC 낭트 | 4–2 | 1–1 | 5-3 |
2라운드 | 아리스 테살로니키 | 4–0 | 1–1 | 5-1 | ||
3라운드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1–0 | 1–4 | 2-4 | ||
1982-83 | UEFA컵 | 1라운드 | Stal Mielec|스탈 미엘레츠pl | 0–0 | 1–1 | 1-1 (원정 다득점) |
2라운드 | SL 벤피카 | 1–2 | 0–2 | 1-4 | ||
1987-88 | UEFA컵 | 1라운드 | Budapest Honvéd FC|부다페스트 혼베드hu | 0–0 | 0–1 | 0-1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2라운드 | ÍA Akraness|IA 아크라네스is | 3–1 | 3–1 | 6-2 |
3라운드 | FC 메스 | 1–2 | 1–0 | 2-2 (원정 다득점) | ||
2001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B68 토프티르 | 0–0 | 4–2 | 4-2 |
2라운드 | Zagłębie Lubin|자그웽비에 루빈pl | 2–1 | 2–2 | 4-3 | ||
3라운드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0–4 | 0–1 | 0-5 | ||
2002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WIT Georgia|WIT 조지아ka | 3–1 | 2–3 | 5-4 |
2라운드 | VfB 슈투트가르트 | 0–1 | 0–2 | 0-3 | ||
2003-04 | UEFA컵 | 예선 라운드 | Dinamo Tirana|디나모 티라나sq | 3–1 | 4–0 | 7-1 |
1라운드 | 맨체스터 시티 FC | 0–1 | 2–3 | 2-4 | ||
2005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Narva Trans|나르바 트란스et | 0–1 | 2–0 | 2-1 |
2라운드 | BSC 영 보이즈 | 1–4 | 1–2 | 2-6 |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플레이오프 | FC 빅토리아 플젠 | 2–1 | 0–1 | 2-2 (원정 다득점) |
2014-15 | UEFA 유로파 리그 | 플레이오프 | 헐 시티 AFC | 1–0 | 1–2 | 2-2 (원정 다득점) |
조별 리그 L조 | 레기아 바르샤바 | 1–0 | 0–1 | 3위 | ||
Металіст Харків|메탈리스트 하르키우uk | 1–0 | 1–0 | ||||
트라브존스포르 | 1–1 | 0–2 |
4. 선수
KSC 로케런은 벨기에, 일본, 코트디부아르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비고 |
---|---|---|
DF | 스테파노 마르초 | |
DF | 고이케 류타 | |
MF | 압둘라예 디아비 | 로열 앤트워프 FC에서 임대 |
MF | 라민 은다오 | |
MF | 킬리안 오버메이레 | 주장 |
MF | 압두 디아카테 | 파르마 칼초 1913에서 임대 |
FW | 아넬 하이리치 | |
MF | 아마노 준 | |
FW | 기오르기 베리제 | K.A.A. 헨트에서 임대 |
MF | 구스 후퍼츠 | |
MF | 블라드 미트레아 | |
DF | 지미 드 용헤 | |
FW | 사이드 아메드 사이드 | 히우 아브 FC에서 임대 |
DF | 아르노 몬세쿠르 | |
MF | 아민 벤차이브 | |
MF | 밥 스트라트만 | |
GK | 로빈 만텔 | |
GK | 테오 데푸르니 | |
DF | 트레이시 음파티 | |
DF | 옐레 판 담 | |
DF | 프란시스 은강가 | |
MF | 세스 데 비테 |
KSC 로케런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은 하위 섹션인 '주요 선수'와 '역대 선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요 선수
벨기에 |
---|
유럽 |
---|
기타 국가 |
---|
분류:K.S.C. 로케런의 선수
4. 2. 역대 선수
KSC 로케런에서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적별로 정렬되어 있으며, 시간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선수 | 국적 | 포지션 | 로케런 활동 기간 |
---|---|---|---|
워지미에시 루반스키 | 폴란드 | 공격수 | 1975-1982 |
짐 베트 | 스코틀랜드 | 미드필더 | 1978-1980, 1983-1985 |
자멜 지단 | 알제리 | 공격수 | 1978-1980 |
아르노르 구드요한센 | 아이슬란드 | 공격수 | 1978-1983 |
프레벤 엘케르 라르센 | 덴마크 | 공격수 | 1978-1984 |
카롤 도비아시 | 체코 | 미드필더 | 1980-1983 |
그제고시 라토 | 폴란드 | 공격수 | 1980-1982 |
데일 템페스트 | 잉글랜드 | 공격수 | 1986-1987 |
모하메드 티무미 | 모로코 | 미드필더 | 1987-1989 |
얀 콜레르 | 체코 | 공격수 | 1996-1999 |
아르나르 그레타르손 | 아이슬란드 | 미드필더 | 2000-2006 |
루나르 크리스틴손 | 아이슬란드 | 골키퍼 | 2000-2007 |
스테판 유키치 | 크로아티아 | 공격수 | 2005-2007 |
베스니크 하시 | 알바니아 | 미드필더 | 2006-2007 |
이반 레코 | 크로아티아 | 미드필더 | 2009-2014 |
옐레 판 담 | 벨기에 | 수비수 | 2019-2020 |
고이케 류타 | 일본 | 수비수 | 2019-2020 |
아마노 준 | 일본 | 미드필더 | 2019-2020 |
'''이 외 선수'''
분류:K.S.C. 로케런의 선수
5. 감독
KSC 로케런의 역대 감독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
감독 | 임기 |
---|---|
라디슬라프 노바크 | 1974년 ~ 1977년 |
로베르 와세주 | 1981년 ~ 1983년 |
빔 얀선 | 1987년 ~ 1988년 |
조르주 레이컨스 | 1999년 ~ 2001년, 2007년 ~ 2009년, 2015년 ~ 2016년 |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 2009년 |
기 튀스 | 1958년 7월 1일 ~ 1959년 6월 30일 |
프랑스 데 브루인 | 1970년 ~ 1971년 |
아르망 쥐리옹 | 1971년 ~ 1974년 |
한 흐레이젠하우트 | 1977년 ~ 1978년 |
레온 놀레트 | 1978년 |
위르뱅 브람스 | 1978년 ~ 1979년 |
위르뱅 에세르트 & 요세프 바체노프스키 | 1979년 ~ 1981년 |
드미트리 다비도비치 | 1983년 7월 1일 ~ 1985년 6월 30일 |
에메 안토니 | 1985년 ~ 1987년, 1988년 7월 1일 ~ 1992년, 2006년 1월 1일 ~ 2006년 2월 26일 |
빔 얀선 &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 1987년 7월 1일 ~ 1988년 |
에메 안토니 & 요세프 바체노프스키 | 1992년 ~ 1993년 1월 |
크리스 판 푸이벨데 | 1993년 ~ 1994년 |
피 판 후프 | 1995년 ~ 1997년 8월 |
빌리 레이너르스 | 1997년 ~ 1999년 8월 |
루디 코세이 & 로니 판 헤네우겐 (임시) | 1999년 8월 |
폴 퓌트 | 2001년 7월 1일 ~ 2003년 10월 27일 |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 2003년 10월 27일 ~ 2004년 12월 20일 |
슬라볼류프 무슬린 | 2005년 5월 24일 ~ 2005년 12월 31일, 2006년 11월 26일 ~ 2007년 6월 30일 |
루디 코세이 | 2006년 2월 26일 ~ 2006년 6월 30일 |
아리엘 야콥스 | 2006년 7월 1일 ~ 2006년 10월 29일 |
루디 코세이 (임시) | 2006년 11월 |
프레디 헤이르만 (임시) | 2009년 4월 1일 ~ 2009년 4월 7일 |
자키 마티센 | 2009년 10월 25일 ~ 2010년 1월 25일 |
에밀리오 페레라 | 2010년 1월 28일 ~ 2010년 6월 30일 |
피터 매스 | 2010년 7월 1일 ~ 2015년 6월 30일, 2017년 8월 9일 ~ 2018년 10월 28일 |
밥 페테르스 | 2015년 7월 1일 ~ 2015년 10월 25일 |
루나르 크리스틴손 | 2016년 10월 28일 ~ 2017년 8월 9일 |
트론 솔리에드 | 2018년 10월 30일 ~ 2019년 1월 20일 |
글렌 데 보크 | 2019년 1월 20일 ~ 2019년 11월 17일 |
스테인 브레벤 | 2019년 11월 19일 ~ 2020년 4월 20일 |
5. 1. 주요 감독
KSC 로케런의 주요 감독으로는 기 티스, 조르주 레이컨스, 피터 매스 등이 있다.감독 | 임기 |
---|---|
기 티스 | 1958년 7월 1일 ~ 1959년 6월 30일 |
빔 얀선 &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 1987년 7월 1일 ~ 1988년 |
조르주 레이컨스 | 1999년 9월 10일 ~ 2001년 6월 30일 |
폴 퓌트 | 2001년 7월 1일 ~ 2003년 10월 27일 |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 2003년 10월 27일 ~ 2004년 12월 20일 |
조르주 레이컨스 | 2007년 7월 1일 ~ 2009년 3월 31일 |
피터 매스 | 2010년 7월 1일 ~ 2015년 6월 30일 |
밥 페테르스 | 2015년 7월 1일 ~ 2015년 10월 25일 |
조르주 레이컨스 | 2015년 10월 25일 ~ 2016년 11월 25일 |
피터 매스 | 2017년 8월 9일 ~ 2018년 10월 28일 |
트론 솔리에드 | 2018년 10월 30일 ~ 2019년 1월 20일 |
글렌 데 보크 | 2019년 1월 20일 ~ 2019년 11월 17일 |
스테인 브레벤 | 2019년 11월 19일 ~ 2020년 4월 20일 |
이 중 조르주 레이컨스는 1999년부터 2001년, 2007년부터 2009년,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세 차례나 감독직을 맡았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불명예스럽게 퇴진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
5. 2.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라디슬라프 노바크 | 1974년 ~ 1977년 |
로베르 와세주 | 1981년 ~ 1983년 |
빔 얀선 | 1987년 ~ 1988년 |
조르주 레이컨스 | 1999년 ~ 2001년 |
조르주 레이컨스 | 2007년 ~ 2009년 |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 2009년 |
조르주 레이컨스 | 2015년 ~ 2016년 |
기 튀스 | 1958년 7월 1일 ~ 1959년 6월 30일 |
프랑스 데 브루인 | 1970년 ~ 1971년 |
아르망 쥐리옹 | 1971년 ~ 1974년 |
한 흐레이젠하우트 | 1977년 ~ 1978년 |
레온 놀레트 | 1978년 |
위르뱅 브람스 | 1978년 ~ 1979년 |
위르뱅 에세르트 & 요세프 바체노프스키 | 1979년 ~ 1981년 |
드미트리 다비도비치 | 1983년 7월 1일 ~ 1985년 6월 30일 |
에메 안토니 | 1985년 ~ 1987년 |
빔 얀선 &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 1987년 7월 1일 ~ 1988년 |
에메 안토니 | 1988년 7월 1일 ~ 1992년 |
에메 안토니 & 요세프 바체노프스키 | 1992년 ~ 1993년 1월 |
크리스 판 푸이벨데 | 1993년 ~ 1994년 |
피 판 후프 | 1995년 ~ 1997년 8월 |
빌리 레이너르스 | 1997년 ~ 1999년 8월 |
루디 코세이 & 로니 판 헤네우겐 (임시) | 1999년 8월 |
폴 퓌트 | 2001년 7월 1일 ~ 2003년 10월 27일 |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 2003년 10월 27일 ~ 2004년 12월 20일 |
슬라볼류프 무슬린 | 2005년 5월 24일 ~ 2005년 12월 31일 |
에메 안토니 | 2006년 1월 1일 ~ 2006년 2월 26일 |
루디 코세이 | 2006년 2월 26일 ~ 2006년 6월 30일 |
아리엘 야콥스 | 2006년 7월 1일 ~ 2006년 10월 29일 |
루디 코세이 (임시) | 2006년 11월 |
슬라볼류프 무슬린 | 2006년 11월 26일 ~ 2007년 6월 30일 |
프레디 헤이르만 (임시) | 2009년 4월 1일 ~ 2009년 4월 7일 |
자키 마티센 | 2009년 10월 25일 ~ 2010년 1월 25일 |
에밀리오 페레라 | 2010년 1월 28일 ~ 2010년 6월 30일 |
피터 매스 | 2010년 7월 1일 ~ 2015년 6월 30일 |
밥 페테르스 | 2015년 7월 1일 ~ 2015년 10월 25일 |
루나르 크리스틴손 | 2016년 10월 28일 ~ 2017년 8월 9일 |
피터 매스 | 2017년 8월 9일 ~ 2018년 10월 28일 |
트론 솔리에드 | 2018년 10월 30일 ~ 2019년 1월 20일 |
글렌 데 보크 | 2019년 1월 20일 ~ 2019년 11월 17일 |
스테인 브레벤 | 2019년 11월 19일 ~ 2020년 4월 20일 |
참조
[1]
웹사이트
technische fiche sporting
https://www.sporting[...]
2018-03-30
[2]
뉴스
Sporting Lokeren failliet verklaard – rechtbank stelt curatoren aan
https://www.hln.be/s[...]
hln.be
2020-04-20
[3]
뉴스
Sporting Lokeren wordt na fusie met Temse KSC Lokeren-Temse
https://sporza.be/ar[...]
sporza.be
2020-04-22
[4]
웹사이트
Anderlecht back in the Top 6, Lokeren relegated
https://www.vrt.be/v[...]
vrt.be
2019-03-04
[5]
웹사이트
Failliet verklaard Sporting Lokeren gaat fusie aan met amateurclub KSV Temse
https://www.ad.nl/bu[...]
2020-04-29
[6]
웹사이트
technische fiche sporting
https://www.sporting[...]
2018-03-30
[7]
뉴스
Sporting Lokeren wordt na fusie met Temse KSC Lokeren-Temse
https://sporza.be/ar[...]
sporza.be
2020-04-22
[8]
웹사이트
Anderlecht back in the Top 6, Lokeren relegated
https://www.vrt.be/v[...]
vrt.be
2019-03-04
[9]
뉴스
Sporting Lokeren failliet verklaard - rechtbank stelt curatoren aan
https://www.hln.be/s[...]
hln.be
2020-04-20
[10]
문서
Vlaanderen
[11]
뉴스
Sporting Lokeren failliet verklaard - rechtbank stelt curatoren aan
https://www.hln.be/s[...]
hln.be
2020-04-20
[12]
뉴스
Sporting Lokeren wordt na fusie met Temse KSC Lokeren-Temse
https://sporza.be/ar[...]
sporza.be
202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